

비상사태
지구촌이 위험해졌습니다. 각 나라마다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중국 다음으로 심각한 위기 상황이었는데, 어느새 코로나19는 미국과 유럽, 중동, 아시아 전역을 강력하게 휩쓸고 있었습니다. 지금 미국을 비롯해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등에서 매일같이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하여 벌써 60만명이 넘는 확진자와 3만명 가량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지금 세계 각국에 나가 있는 디아스포라 한국인들도 급하게 조국으로 돌아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야말로 전쟁입니다. 각 나라 정부들도 전시상황으로 간주하고 대국민 행동지침을 내리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동금지, 상점영업금지, 국경 폐쇄, 긴급경제조치 등을 취하고 있습니다. 일부경제전문가들은 코로나19 사태를 ‘3차 세계대전’이라고 명명하면서, 이미 1997년 IMF때의 경제위기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합니다. 참으로 전 세계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그나마 우리나라만


나의 멈춤과 주님의 일하심
하나님이 멈추게 하셨습니다. 지금까지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를 세워보겠다고 말씀사역과 제자훈련, 복음적통일과 세계선교, 그리고 다음세대 사역 등 힘껏 감당했습니다. 열매도 많았고 늘 주님의 은혜라 고백하며 행복을 누렸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잠시 멈췄습니다. 나의 선택이 아닌, 코로나19 전염병이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언제 어디에서 감염이 될지 몰라 다들 조심스럽게 지낼 수밖에 없습니다. 특별히 많은 사람들이 공동체로 모이는 교회이기에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잘못하면 이웃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교회 역시 공동체 예배를 전면적으로 멈추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바이러스 따위에 두려워하거나 휘둘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코로나19의 강력한 전염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느 누구든지 감염되기라도 하면 그야말로 속수무책입니다. 미국과 같은 세계 초강대


위장된 축복
1. 괴로울 때 주님의 얼굴 보라 평화의 주님 바라보아라 세상에서 시달린 친구들아 위로의 주님 바라보아라 2. 힘이 없고 네 마음 연약할 때 능력의 주님 바라보아라 주의 이름 부르는 모든 자는 힘주시고 늘 지켜주시리 (후렴) 눈을 들어 주를 보라 네 모든 염려 주께 맡겨라 슬플 때에 주님의 얼굴보라 사랑의 주님 안식주리라 오래 전에 많이 불렀던 복음성가입니다. 찬양을 통해 주님을 바라볼 수 있었고, 그때마다 위로와 힘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을 살면서 자주 낙심하고 불안해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세상은 위험천만한 곳이고, 우리는 연약한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우리가 승리할 수 있는 최선의 삶은 주님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믿음의 주요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히 12:2).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바이러스가 지난 두 달여 동안 우리나라를 휘저어 놓더니 이제는 미국과 유럽을 휩쓸고 있습니다. 결국 WHO는


하나님,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옵소서!
역사의 주관자 되시는 하나님, 이 민족이 고난의 터널을 통과하고 있습니다. 벌써 코로나19바이러스 확진자가 7,000명을 넘어섰고, 50명 여명의 사망자가 생겼습니다. 백성들은 감염될까 두려워 떨고 있습니다. 자영업자들은 심각한 경제적인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하나님, 어찌하면 좋겠습니까?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뜻을 알고 순종하게 하옵소서. 진노 중에라도 긍휼을 베풀어주시는 하나님, 우리의 교만함과 탐욕을 용서하옵소서.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조차도 욕심과 자기중심이 기준이 되어 경홀히 여길 때가 많았습니다. 세상의 부와 만족, 성공을 위해서라면 분주하게 다니고, 심지어는 거짓과 불의에 타협하며 살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교회에 나와서 경건한 척 예배를 드렸습니다. 세상과 그리 다르지 않은 교회의 모습인 듯합니다. 주님, 그래서 교회 문을 닫게 하셨습니까? 주님, 우리를 용서하여 주옵소서.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는 나 하나님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의 주일예배에 대한 제언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의 주일예배에 대한 제언 코로나19 감염이 지역사회로 심각하게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이 상황과 관련하여 주일예배를 가정에서 혹은 영상송출을 통하여 드리는 것이 가능한 지에 관하여 논의와 문의가 발생하였습니다. 개혁주의 신학에 관점에서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첫째, 신학적 고려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주일을 지키는 것은 예수님께서 부활을 통해 구약의 안식일 제도를 완성하셨기 때문입니다. 교회는 주일을 거룩하게 지키기 위해 예배당에서 모여 예배를 드립니다. 그러므로 공동체가 함께 모이는 공예배를 임의로 소홀히 하거나 저버리지 말아야 합니다(히 10:25;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1:6). 즉 정한 시간, 정한 장소에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 우리가 온전히 지켜야 할 신앙의 원리입니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는 사안에 따라 당회가 일정한 결정을 내려 다른 형태의 예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것입니다(웨스트민스터 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