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상의 도전과 우리의 응전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 포항공대 박성진 교수가 후보자로 지명됐는데, 청문회를 열기도 전에 여야 정치권을 비롯한 각계에서 지명철회 요구가 빗발치고 있습니다. 그 이유 중에 하나가 한국창조과학회 이사로 활동했다는 전력 때문입니다. 진화론을 부정하고 하나님의 창조를 믿는다는 것이 정부의 장관직을 맡기에 부적합하다는 주장입니다.

그렇다면 창세기 1장 1절의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는 말씀을 믿는 그리스도인은 이제부터 공직에 나갈 수 없다는 것인지, 우리나라의 일천만 명의 그리스도인들 모두 부적격자 취급을 당하는 것 같아 참으로 안타깝기만 합니다.

진화론은 가설에 불과하다는 것이 밝혀졌음에도 그것이 진리인양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창조신앙은 철저히 배격되고 있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것 같습니다. 진화론이 학문분야에 미친 영향력을 엄청나고, 사람들이 받아온 교육의 밑바탕에도 진화론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조금만 진지하게 생각해봐도 진화론을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원숭이와 사람은 처음부터 다른 종입니다. 진화론을 뒷받침하려면 진화의 중간형태가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질이 스스로 존재하고 진화되는 것이라면 지금도 진화되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나 자신만 봐도 그런 증거가 없습니다. 또한 진화론을 믿는 사람들은 불행한 삶을 살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어디로부터 왔고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그저 우연에 맡기고 불안하게 인생을 살아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영원부터 스스로 계신 하나님이 우주만물을 창조하셨다고 선포하고 있습니다. 피조물인 인간이 하나님의 창조섭리를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창조주 하나님도 설명해주시지 않고 선포하셨습니다. 하지만 나는 내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하나님의 오묘한 창조의 손길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장관 후보자 개인의 창조신앙을 문제 삼고 있다면, 하늘의 지혜에 무지한 세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기독교는 세상으로부터 더욱 배척을 받을 것입니다. 세상과 다르기에 싫어합니다. 손해보고 고난 받을 각오를 하고 믿음의 길을 가야 할 것입니다.

무조건 침묵할 수 없습니다. YES와 NO를 분명히 할 줄 아는 교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세상의 도전에 대해 단호하게 응전을 해야 합니다. 우리의 응전은 자신에 대해서는 더욱 거룩성을 추구하고, 세상을 향해서는 진리를 외치는 것입니다. 그것만이 세상을 이기고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길입니다.

“세상에서는 너희가 환난을 당하나 담대하라 내가 세상을 이기었노라”(요16:33)

Featured Posts
Recent Posts
bottom of page